전체 글


『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 은 아고타 크리스토프가 오 년여에 걸쳐 쓴 소설들을 묶은 책이다. 작가 아고타 크리스토프는 1936년에 헝가리의 시골 마을에서 태어나서 제 2차 세계대전에 어린 시절을 보냈다. 작가는 자신이 사랑했던 오빠를 클라우스로, 작가 자신을 루카스로 등장시켰다고 한다. 1부 『비밀 노트』 에서는 고유명사가 일체 나오지 않고 주인공을 복수(우리)로 한다. 쌍둥이는 최악의 상황을 이겨나가는 연습을 하고, 사회의 도덕기준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들만의 기준을 새로 만든다. 그들은 커다란 노트에 자신들의 성장과정과 죄악에 대해 세세하게 기록해나간다. 쌍둥이 중 한명인 클라우스는 국경을 넘어가고, 나머지인 루카스는 그대로 할머니집에 남게 되면서 1부가 마무리 된다. 쌍둥이의 이별은 둘로 분화된 그들..


김애란 작가 1980년 인천에서 태어나 충남 서산에서 자랐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극작과를 졸업했다. 2002년 단편 「노크하지 않는 집」으로 제1회 대산대학문학상을 수상하고 같은 작품을 2003년 『창작과비평』 봄호에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달려라, 아비』 『침이 고인다』 『비행운』 『바깥은 여름』, 장편소설 『두근두근 내 인생』, 산문집 『잊기 좋은 이름』이 있다. 이 책에서 고재귀의 사진을 찍었다. 이상문학상, 동인문학상, 한국일보문학상, 이효석문학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신동엽창작상, 김유정문학상, 젊은작가상, 한무숙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아픔을 농담처럼 말하는 것 역시 극복하려는 의지가 개입된 거겠죠. 제가 작품에서 말하게 된 상처는 대결이나 화해의 정향성으로부터 자유로..


" 화제의 칼럼 ‘추석이란 무엇인가’의 김영민 서울대 교수. 본질적이되 지루하지 않은 질문과 명쾌하되 가볍지 않은 대답으로 우리 시대를 독창적으로 읽어나가고 있는 그의 첫 책 『아침에는 죽음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가 출간됐다. 반문과 비틀기, 날렵한 유머와 자유로운 사유로 일상의 진부함을 타파하며 본질을 향해 다가가는 김영민 글쓰기의 정수를 만날 기회가 드디어 찾아왔다. 책은 지난 10여 년간 김영민 교수가 일상과 사회, 학교와 학생, 영화와 독서 사이에서 근심하고 애정 한 것들에 대한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김영민 교수는 이 책을 가리켜 과거의 사람들을 추억하고 미지의 세계를 궁금해하며 새로운 만남을 잊지 않으려는 노력이라고 이야기한다. 책을 매개로 “내 곁의 사람들과 함께 사는 일에 대해 떠들고”, ..


[정리] 1장: 현대 자본주의 앞에는 어떤 미래가 기다리는가 - 유발 하라리 (사피엔스의 저자) (1) 자유 시장이라는 신화, 자본주의라는 종교 자본주의는 자연적인 시스템이 아니라, 인간이 창조해낸 하나의 제도일 뿐이다. 유발 하라리는 자본주의를 하나의 종교라고 생각한다. 종교에서 신의 유무는 중요하지 않다. 종교란 어떤 이야기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규범과 가치체계. (2) 욕망은 자본주의의 엔진 자본주의는 사람들의 욕망을 전제로 한다. 욕망은 자본주의의 ‘엔진’이다. 생산량의 증가 -> 소비의 증가 -> 생활 수준이 높아짐 -> 더 행복해짐 ? 삶의 만족도는 소유나 부의 양같은 객관적인 기준에 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이 주장은 적절하지 않음 (3) 권한의 분산으로 승리한 자본주의 자본주의와 공산주..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을 처음 접한 건 중학생 때 1Q84를 읽었을 때이다. 평행세계의 두 남녀에게 일어나는 미스터리한 사건들이 정말 재미있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던 기억이 난다. 그 후, 고등학생 때 좋아하는 국어선생님께 책을 선물 받을 기회가 있었다. 무슨 책을 갖고싶냐는 물음에 주저 없이 하루키의 책을 골랐다,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1Q84와는 달리 직관적이지 않은 문체가 가독성을 떨어트렸다. 한참에 걸려 완독을 했는데도 뭐가 뭔지 모르겠다는 감상평이 나왔다. 그 다음 읽은 하루키 소설은 해변의 카프카였다. 읽은 당시에는 카프카에게 상당히 공감이 간다고 생각했는데 어쩐지 상,하권 둘 다 읽지는 않았다.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였을까? 성인이 돼서 처음 읽어 본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은, ..


감상문 기본 교양이라고 생각하는 철학적 지식이 스스로 부족하다고 생각하는데, 독서 모임 발제를맞게 되면서 다른 분들과 생각을 나눠보고자 이 책을 선정했다. ‘입문 철학’ 도서로 추천한다는 리뷰가 많길래 골랐는데 철학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읽기에 매우 적합했다. 저자는 시간 순으로 중요한 철학개념을 나열하지 않고, 카테고리를 사람, 조직, 사회, 사고로 나눠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철학개념을 쉽게 설명한다. 여러 개념을 쉽게 소개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설명이 아쉬웠던 부분도 있었지만, 부족한 걸 따로 찾아보면서 좋은 공부가 된 것 같다. ‘사람’에 관한 핵심 콘셉트: 왜 이 사람은 이렇게 행동할까? 1. 르상티망 (Ressentiment) - 프레드리히 니체 : 약한 입장에 있는 사..


문제 오르막 수는 수의 자리가 오름차순을 이루는 수를 말한다. 이때, 인접한 수가 같아도 오름차순으로 친다. 예를 들어, 2234와 3678, 11119는 오르막 수이지만, 2232, 3676, 91111은 오르막 수가 아니다. 수의 길이 N이 주어졌을 때, 오르막 수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수는 0으로 시작할 수 있다.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길이가 N인 오르막 수의 개수를 10,007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예시 입력 / 출력 예시 입력 예시 출력 1 10 2 55 3 220 풀이 더보기 limkydev.tistory.com/113 ^ 코드 작성에 참고했음 근데 이대로 따라하니까 런타임 에러 났다. [DP] 백준 11057 오르..


문제 45656이란 수를 보자. 이 수는 인접한 모든 자리수의 차이가 1이 난다. 이런 수를 계단 수라고 한다. 세준이는 수의 길이가 N인 계단 수가 몇 개 있는지 궁금해졌다. N이 주어질 때, 길이가 N인 계단 수가 총 몇 개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0으로 시작하는 수는 없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정답을 1,000,000,000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예시 입력 / 출력 예시 입력 예시 출력 1 9 2 17 3 32 4 61 풀이 #include #define mod 1000000000 using namespace std; // DP[N][L] : 길이 N, 마지막 숫자 L일 경우의 수 i..


문제 정수 4를 1, 2, 3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은 총 7가지가 있다. 합을 나타낼 때는 수를 1개 이상 사용해야 한다. 1+1+1+1 1+1+2 1+2+1 2+1+1 2+2 1+3 3+1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n을 1, 2, 3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고, 정수 n이 주어진다. n은 양수이며 11보다 작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n을 1, 2, 3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의 수를 출력한다. 예시 입력 / 출력 예시 입력 예시 출력 3 4 7 10 7 44 274 풀이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DP[11]; int solutio..